최근 고수익을 미끼로 투자자들을 속여 돈을 가로채는 불법 유사 투자자문, 일명 '리딩방 사기 범죄'가 더욱 교묘해지고 있습니다. 주식 리딩방 사기 범죄가 투자앱 수법으로 진화했는데요. 가짜 거래소 사이트와 유명인 사칭 등의 수법을 통해 피해자들을 현혹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사기 수법으로 인해 최근 반년 동안 신고된 피해액만 3천억 원에 달하고 있습니다. 투자앱 설치는 핸드폰이 해킹될 수도 있어서 금전손실 이상의 피해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범죄수법과 예방방법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피해사례와 범죄수법, 예방방법은 경찰청에서 운영하는 사이버범죄 신고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짜 거래소 사이트와 유명인 사칭
리딩방 사기범들은 투자 정보를 공유하는 SNS 오픈 채팅방을 통해 비상장 주식 거래 사이트를 소개합니다. 이 사이트들은 실제 기업공개(IPO) 회사의 주식을 싸게 구매할 수 있다고 홍보하며, 일반 공모가보다 40% 저렴한 특별공급을 미끼로 입금을 종용합니다. 저명한 경제학 교수나 금융당국의 이름을 내걸어 투자자들을 안심시키지만, 이러한 사이트들은 모두 가짜입니다. 예를 들어, 서강대학교 경제대학원의 김영익 교수는 자신의 이름이 사칭된 사례가 있다고 경고합니다. 실제로 많은 주식투자 리딩방 광고에서 유명인들의 얼굴이 불법도용되고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투자앱으로 사기방법 진화
불법 리딩방 사기는 날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사기범들은 실제 수익이 발생한 것처럼 보이기 위해 투자자 계좌에 일시적으로 돈을 넣어주고, 투자자의 경계심을 늦춥니다. 이를 믿고 투자액을 늘리게 되면, 결국 어느 순간 돈을 가로채고 연락을 끊어버립니다. 유명인을 사칭해 투자앱을 설치하도록 한 뒤 거액을 빼돌리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기범들은 역할을 분담하고 해외에 조직을 두는 등 더욱 전문화되고 있습니다.
실제 피해 사례
A 씨는 유명인을 사칭한 사기범에게 속아 투자금 5억 8천만 원을 잃었습니다. 노후 자금과 집 담보까지 동원했지만, 결국 모든 것을 잃고 말았습니다. 이러한 피해는 최근 더욱 증가하고 있으며, 유명인을 사칭한 사기범들이 투자앱을 통해 186억 원을 빼돌린 사건도 있었습니다. 피해자만 85명에 달했으며, 사기범들은 역할을 나누어 조직적으로 활동했습니다.
경각심을 가져야 할 점
경기남부경찰청 사이버수사대의 김 모 대장은 정식적인 업체가 아닌 경우 십중팔구 사기일 수 있으므로 항상 의심하고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합니다. 한 번의 의심과 확인으로 인해 평생 모은 자금을 지킬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주식 리딩방 사기 피해 현황
지난해 9월부터 올해 3월까지 경찰에 신고된 주식 리딩방 사기는 3천2백여 건에 달하며, 추정 피해액은 2,970억 원이 넘습니다. 이러한 사기 수법은 계속해서 진화하고 있으며, 피해자들은 더욱 늘어나고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항상 경계심을 가지고, 투자 결정을 내리기 전에 철저한 검증이 필요합니다.
주식 리딩방 사기 예방 방법
주식 리딩방 사기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을 유념해야 합니다.
- 투자 정보를 제공하는 채팅방이나 사이트의 신뢰성을 확인해야 합니다.
- 고수익을 약속하는 광고에 현혹되지 말고, 신뢰할 수 있는 금융 전문가나 기관의 조언을 구하는 것이 좋습니다.
- 의심스러운 투자 제안을 받았을 때는 경찰이나 금융당국에 즉시 신고하여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고방법과 환불방법은 크게 금융감독원, 경찰청, 소비자센터, 개인소송으로 크게 네 가지가 있지만, 금감원이 해당업무 당국으로써 가장 빠르게 결과를 알 수 있습니다.
결론
주식 리딩방 사기는 고수익을 미끼로 투자자들을 속여 돈을 가로채는 심각한 범죄입니다. 가짜 거래소 사이트와 유명인 사칭 등의 수법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보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기 수법은 날로 진화하고 있으며, 피해자들은 더욱 늘어나고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항상 경계심을 가지고, 투자 결정을 내리기 전에 철저한 검증이 필요합니다. 한 번의 의심과 확인으로 인해 평생 모은 자금을 지킬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